참과 거짓이라는 값을 표현할 때 불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52 > 273
52는 273보다 크지 않으므로 false를 출력합니다.
52 < 273
52는 273보다 작으므로 true를 출력합니다.
위와 같이 두 대상을 비교하는 <, >와 같은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라고 합니다.
비교연산자
연산자 | 설명 |
>= | 좌변이 우변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
<= | 우변이 좌변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
> | 좌변이 큽니다. |
< | 우변이 큽니다. |
== | 좌변과 우변이 같습니다. |
!= | 좌변과 우변이 다릅니다. |
비교연산자는 문자열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은 국어사전의 앞 쪽에 있을수록 값이 작습니다.
'가방' > '하마' => false
가방은 하마보다 앞쪽에 있으므로 값이 작아 가방은 하마보다 값이 크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false를 출력합니다.
유니코드 문자로 비교하므로 모든 언어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불끼리 크기 비교도 가능합니다.
ture > false일 경우 true는 1, false는 0이기 때문에 1>0이므로 true를 출력하게 됩니다.
그럼 불은 어디에 사용할까요?
불은 조건문에서 사용하게 됩니다.
1
2
3
|
if(불 표현식){
불 표현식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
cs |
조건문은 괄호 안의 불 표현식이 참이면 중괄호 속 문장을 실행하고 거짓이면 중괄호 속 문장을 무시합니다.
뒤에 IF문에서 좀더 자세하게 업로드 하겠습니다.
불끼리는 논리 연산이 가능합니다.
논리 연산자
연산자 | 설명 |
! | 논리 부정 연산자 |
&& | 논리곱 연산자 |
|| | 논리합 연산자 |
논리 부정 연산자는 단순히 참이면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꾸는 연산자입니다.
논리합이란?
좌변과 우변이 모두 참일때 참인 연산자입니다.
좌변 | 우변 | 결과 |
true | true | tru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false |
숫자로 표현하면
좌변 | 우변 | 결과 |
1 | 1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논리합이란?
좌변과 우변이 모두 거짓일 때만 거짓입니다. 다른말로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입니다.
좌변 | 우변 | 결과 |
true | true | true |
true | false | true |
false | tru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숫자로 표현하면
좌변 | 우변 | 결과 |
1 | 1 | 1 |
1 | 0 | 1 |
0 | 1 | 1 |
0 | 0 | 0 |
'웹 기초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문법 - 복합 대입 연산자 (0) | 2019.04.24 |
---|---|
기본 문법 - 변수 (0) | 2019.04.23 |
기본 문법 - 숫자 (0) | 2019.04.19 |
기본 문법 - 문자열 (0) | 2019.04.18 |
기본 문법 - 출력 (0) | 2019.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