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6)
Node.js란? Node.js는 2009년 라이언 달(Ryan Dahl)이 개발한 서버 개발 환경입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사용하므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Node.js 배경 자바스크립트는 1994년 넷스케이프사 브랜드 아이히가 만든 프로그래밍언어로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이용해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인터넷 속도가 빨라져 더 많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자 자바스크립트는 점점 많은 곳에 활용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아지자 웹브라우저를 벗어난 곳에서도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데스크톱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Adobe AIR 애플리케인션이나 Wi..
Vue.js 스터디 _1. 설치하기 1. https://vuejs.org/ 접속 -> GET STARTED 선택 2. 왼쪽 사이드바 또는 본문의 installation 선택 https://kr.vuejs.org/v2/guide/index.html 한글 가이드 페이지 3. 설치 방법 이 페이지에서는 호환성 정보, 릴리즈 노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uejs를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존재합니다. 1. 직접 에 추가하는 방법 2. CDN을 통한 최신버전을 반영하는 방법 3. NPM (Node Packaged Manager)를 사용하는 방법 4. CLI를 사용하는 방법
Atom 에디터 설치 및 GitHub 연동 Atom : GitHub에서 만든 오픈 소스 에디터, GitHub GUI 기반으로 연동해서 사용이 가능 - 부가적인 plug-in 설치를 통해 더욱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 설치 : https://atom.io/ 다운로드 선택을 통한 아톰 설치 GitHub 연동 1. 회원가입/로그인 2. Repositories - New 3. Repository 정보 입력 - Create repository 선택 4. 완성된 저장소 정보 확인 5. Atom 에디터 실행 후 -> packages -> Github -> Toggle Git Tab 선택 6. 윈도우 커맨드창 실행 해당 프로젝트 경로로 이동 git config.user.name '사용닉네임' git config.user.email 'github 이메일' git r..
시간 복잡도 시간복잡도란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간(연산)의 횟수를 말합니다. 알고리즘을 평가하는데 있어 수행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을 평가기준으로 두는데 수행시간에 해당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메모리 사용량에 해당하는 것이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ity)입니다. 연산 횟수를 카운팅할 때 3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최선의 경우 Best Case 최악의 경우 Worst Case 평균적인 경우 Average Case 평균적인 경우가 가장 이상적으로 보이겟지만 알고리즘이 복잡해 질수록 평균적인 경우는 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최악의 경우로 알고리즘의 성능을 파악합니다. Program Step에서 Elementary Operation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
정렬 (Sort) 정렬이란? 순서없이 나열된 자료(record)를 특정한 키 값에 따라 오름차춘 (ascending order)이나 내림차순(descending order)으로 자료를 배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렬은 자료 탐색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때 알파벳순으로 정렬이 되어 있지 않다면 특정한 단어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컴퓨터는 사람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정렬되어 있지 않는 자료형에서는 탐색의 효율이 크게 떨어집니다. 정렬은 많은 분류가 있지만 수행되는 공간에 따라 내부정렬과 외부정렬이 있습니다. 내부 정렬 (Internal sort) 정렬하고자 하는 모든 데이터가 메모리에 올라와 정렬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 외부 정렬 (External sort) 정렬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너무 크기 때문에..
기본 문법 - 자료형 검사, undefined, 자바스크립트는 숫자, 문자열, 불과 같은 것을 자료형이라고 부릅니다. 자료형을 확인하기 위해선 typeof를 사용합니다. undefined는 정의하지 않은 자료형을 의미함 undefined 자료형 변수로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 변수를 선언했지만 초기화 하지 않았을 때도 undefined 자료형을 가집니다.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 좋은 알고리즘 정밀성 : 변하지 않는 명확한 작업 단계를 가져야 한다. 유일성 : 각 단계마다 명확한 다음 단계를 가져야 한다. 타당성 : 구현할 수 있고 실용적이어야 한다. 입력 : 정의된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한다. 출력 : 답으로 출력을 내보낼 수 있어야 한다. 유한성 : 특정 수의 작업 이후에 정지해야 한다. 일반성 : 정의된 입력들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알고리즘 개발의 정형적인 단계 문제 정의 -> 모델 고안 -> 명세 작성 -> 설계 -> 검증 -> 분석(복잡도 등) -> 구현 -> 테스트 -> 문서화
기본 문법 - 변수의 특성 변수는 하나의 내용만을 담을 수 있습니다. num이라는 변수에 1이 들어 있을 때, num 변수에 2라는 값이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변수는 1이라는 값을 버리고 2라는 변수를 담게 됩니다. 컵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처음에 커피가 들어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 컵에 녹차를 따른다고 했을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커피를 버리고 녹차를 담아야하므로 cup에는 녹차가 담기게 됩니다. 코드를 짜보면 이와 같이 마지막에 대입한 값이 표시가 되게 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기존에 존재하는 변수를 재선언할 수 있습니다.